동의보감

2) 소건중탕 ; 小建中湯 (傷寒論)

세태풍자 2007. 2. 1. 18:15
반응형
 


     2) 소건중탕 ; 小建中湯 (傷寒論)


(조성)

계지 3兩, 작약 6兩, 생강 3兩, 감초 2兩, 대추 (擘) 12枚, 이당 1升.


(용법)

교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물 7升을 가하여 3升이 될 때까지 달이고 지꺼기를 제

거한 후에 이당을 가하여 약한 불로 녹이고 따뜻할 때 1승을 복용하며 1일 3회

복용한다..


(효능)

溫中補虛∙柔肝緩急


(적응증) 

비허(脾虛) 또는 기혈(氣血)이 허한 사람의 복통 : 안색이 좋지 않다∙활발하지

못하다∙약간 피로해 한다∙입이 짧다 등의 증상에,  가끔 배가 아프고 (배꼽주

변의 경련성 동통이 많다) 따뜻하게 하거나 눌러 주면 좀 낫는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또 소변을 자주 보고 소변량은  적다∙땀을 잘 흘린다 동계 등이

나타날 때가 많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어린이의 감기.


(처방해설)

소건중탕은 중초(中焦)가 허한(虛寒)하고 비(脾)가 허(虛)한  틈을  타서 간기(肝

氣)가 비위(脾胃)를 범한 비허간승(脾虛肝乘)의 증후이다.

비위(脾胃)는 후천지본(後天之本)으로 영위기혈(營衛氣血)을 만들어 내는 생명의

원천지다. 중초가 허한하면 간(肝)을 보양하지  못하므로  간혈도허하게 되어

기혈(氣血)과 음양(陰陽)이  모두 허한 병태가 형성되고, 간(肝)이 비(脾)가  허

한 틈을 타서 비위(脾胃)를 범하기 때문에 복부에 경련성 동통이 일어난다.


복통이 날때 찬 것을 찾으면 열(熱)에 속하고  더운 것을 찾으면  한(寒)에 속

하며 만지는 것을 싫어 하면 실(實)에 속하고 만지는 것을 좋아  하면 허(虛)에

속한다. 이 때, 복통이 있고 더운 것을 좋아하며 만지는 것을 좋아  한다면 그

것은 허한(虛寒)한 증상에 속한다. 또한,  아파서 자주 누르는 것은 경련성동통

의 특징이고, 눌러 주면 경련이 잠시 멎게  되고 아픔이 덜어진다면 이 복통은

내장이 실(實)하여 생긴 병변이  아니라 간목(肝木)이 비(脾)를 승(乘)한 경련

성동통임을 말해준다. 이 이외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허하여  속이 답답하고 불

안하며 얼굴에 핏기가 없고 혀가 담눈(淡嫩)한 것도 모두 허한(虛寒)한 증상에

속한다.


소건중탕은 계지가작약탕에 이당을  가한 방제로, 계지, 생강, 감초,  대추로 온

중보허(溫中補虛)하며 작약과  이당으로  익음유간(益陰柔肝)하고 완급지통(緩急

止痛)한다.


소건중탕은  "북을 돋우는(益木培土)" 것과도  같아서 이상과 같은 복통에 확실

히 좋은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방제는 작약, 이당으로보음(補陰)하

고 계지, 생강, 감초, 대추로  보양(補陽)하여 음양(陰陽)을 쌍보(雙補)하는 효과

도  나타낸다.  따라서, 허로에서 오는 발열 및  심계항진 등에도 응용할 만한

방제라 할 수 있다.


(사용의 실제)

냉증(冷證)이 나타날 때에는 계지를 육계로, 생강을 건강으로 바꾸고, 부자, 세신

을 가하는 것이 좋으며, 변비에는 대황을 가한다. 허약자 및  어린이의 감기에는

땀을 많이 흘리면 좋지 않으므로 계지탕 대신에  소건중탕을 쓰는 것이 좋다.


회궐(蛔厥)에는 용안육, 천초, 오매, 사군자를 가하고, 허(虛)가 심할 때에는 인삼

을 가하며 허냉복통(虛冷腹痛)에는 이중탕을 합방한다.

교이(膠飴)를 빼면 진경, 영양의  효과는  없고  완급지통(緩急止痛)하고 온중

보허(溫中補虛)하는 작용만 남게 되며(桂枝加芍藥湯),  혈허에  의한 복통에는

당귀를 가하여 쓰고(당歸建中湯), 기허에 의한 복통에는 황기를 가하여 쓰며(黃

芪建中湯), 기혈양허에 의한  복통에는 당귀와 황기를 가하여 쓴다(歸芪建中湯).


(임상응용)

어린이의 배꼽부위의 산통∙위장신경증∙만성위염∙만성간염∙십이지장궤양∙경

련성 변비∙과민성 결장증후군 등에서 비허(脾虛)에 의한 복통을 나타낼 때 쓰

고, 어린이 및 허약한 사람의 감기에도 쓴다.


(참고)

<상한론>

 傷寒裏虛則悸, 邪抌則煩.  二三日悸而煩者, 正虛不足, 而邪欲入內也.  是

不可攻其邪, 但與小建中湯, 溫養中氣, 中氣立則邪自解.  此病人中氣素虛,

宜建中, 兼調營衛, 亦卽扶正以祛邪之義.


<금궤요략>

 虛勞裏急, 悸, 衄, 腹中痛, 夢失精, 四肢痠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허로하여 이급하고 경계, 코피, 복통, 몽정, 사지의 권중동통등이 일어나며, 수족

이 달아오르고 입이 마르는 증은 소건중탕으로 치료한다.


<방약합편>

治虛勞裏急腹痛夢遺咽乾. 自汗加黃芪, 名黃芪建中湯.

血虛加當歸, 名當歸建中湯. 合理中湯, 名建理湯,

治虛冷腹痛. 積氣疝氣上功,  加茴香,  吳茱萸, 胡椒, 玄胡索, 全蝎之類.

蛔厥, 加龍眼肉五錢, 椒, 烏梅, 使君子之類.

虛甚, 加人蔘.


<동의보감>

 治虛勞裏急腹中痛, 夢寐失精, 四肢痠痛, 手足煩熱咽乾口燥. 治虛勞氣虛自汗,

本方加黃 , 名曰黃芪建中湯. 治虛勞血虛自汗. 

本方加當歸, 名曰 當歸建中湯服法同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