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1). 대건중탕 ; 大建中湯 (金匱要略)

세태풍자 2007. 1. 30. 23:16
반응형
 

     1). 대건중탕 ; 大建中湯 (金匱要略)


(조성)

촉초(炒) 2合, 건강 4兩, 인삼 2兩, 교이 1升.


(용법)

먼저 촉초, 건강, 인삼에 물 4升을 가하여 2升이 될 때까지 달여  지꺼기를 제거

하고 여기에 교이 1升을 가하여 약한 불로 1升半이 될 때까지  달이고 두번에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하는 데 처음에는 조금 있다가 죽 2승을 같이 복용하며

다음에 복용할 때는 미음을 들어 따뜻하게 한다.


(효능)

溫中散寒∙緩急止痛


(적응증)

1) 비위허한(脾胃虛寒)에 의한 산통(疝痛) : 평소에 원기가 없다∙식욕이 없다∙

배가 부르다∙손발과 배가 냉하다 등의 비위허한(脾胃虛寒)의  증상에,  한냉자

극에 의해 심한 복부산통(腹部疝痛)발작이 있다∙복벽이 이완되어 있어 장연동

을 눈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속이 메스껍다∙구역질이  난다 등의 증상이 있을

때.

2) 비위실한(脾胃實寒)에 의한 산통(疝痛) : 한냉(寒冷)한 환경에 있게 되거나 찬

음식물을 먹었을 때 갑자기 일어나는 복부산통으로 보통 허약한 증상이 없을 때.

(처방해설)

대건중탕증은 금궤요략(金匱要略)에 "가슴속에 대한통(大寒痛)이 있고 구역질 때

문에 음식을 먹지 못하며 뱃 속의 찬기운이  상충(上衝)하여 살갗이 꿈틀거리는

것을 볼 수 있고 위와  아래가 모두 아파 손도 못대게 한다."라 하였다.

이 증은 병변부위는  중초(中焦)에 있고 병인은  한사(寒邪)이므로  중양(中陽)

이 미미하고 음한(陰寒)이 내성(內盛)하여 생긴 것이다.

음한(陰寒)이 응집해 있기 때문에 복부에 통증이 심하고, 한(寒)이  심하기 때문

에 장(腸)의 연동이 격화된 것이며, 그 결과 "상충하여  살갗이 꿈틀거리는 것이

다"라 한 것이고, 통증이 극심하기 때문에 만지지도 못하게 하고 가까이 오지도

못하게 하며 장의  연동이 격화되기 때문에  탁음(濁飮)이 아래로 가지 못하고

상역하여 구역질이 나서 식사를 못하는 것이다. 이 때에는 재빨리 속을 덥혀 주

고 한기(寒氣)를  밀어내면  중초(中焦)가 더워져 음한(陰寒)은 사라지고 동통은

멎게 된다.  대건중탕은 아주 맵고 아주 더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건강, 촉초를

주약으로 사용하여 속을 덮혀 주고 한기를 밀어내며 중양(中陽)을 흥분시킴으로

써 한사(寒邪)를 흩트러뜨려 동통을 멎게하고 탁음(濁飮)을 내려  구역질을 없애

게  한 것이다. 또한, 인삼, 이당(飴糖)은 비(脾)를 보하고  급(急)을 늦춰주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건강, 촉초, 인삼, 이당을 같이  쓰면 온중산한(溫中散寒)하

고 보비완급(補脾緩急)하는 효과를 함께  발휘하게 된다.

또, 촉초에는 살충 작용도 있으므로,  이  방제는  중초허한(中焦虛寒)과 회충의

교란에 의한 복통에도 쓸 수 있다.


(사용의 실제)

설사가 있을 때에는 백출, 복령 등을 가하고 구토가 심하면 오수유, 생강을 가

하며 복부팽만감이 심하면 후박, 반하를 가한다.  통증이 심하면 고량강, 정향,

오약, 향부자 등을 가하고, 냉통이  심하면 부자를 가한다.


(임상응용)

만성위염∙만성장염∙장관유착∙멕켈계실∙요로결석∙기타 만성질환에서  비위

허한에 의한 산통(疝痛) 발작이 나타날 때,  또는  급성위장염∙기능성Ileus의 초

기에,  실한(實寒)에 의한 산통(疝痛)발작이 나타날 때 쓴다.


(참고)

<金匱要略>

 心胸中大寒痛, 嘔不能飮食, 腹中寒, 上庶皮起,  出見有頭足, 上下痛而不

可觸近, 大建中湯主之. 大建中湯方: 蜀草二合(炒去汗)  乾姜四兩  人參二

兩. 右三味, 以水四升, 煮取二升, 去湳, 內服飮一升, 微火煎取一升半,  分

溫再服; 如一炊頃, 可飮粥二升, 后更服.

(심중에  大寒痛이 있고  구역질 때문에 식사를 못하며 뱃 속에 있는 한이 상충

하여 살갗을 움직이게 하여 그 꿈틀거리는 것이 자세히 보이며 위 아래가 아파

건드리지  못하게  한다.)


<東醫寶鑑>

동의보감에  수재된 대건중탕은 득효방의 방제로 그 내용이 다르다.

諸虛不足小腹急痛潮熱盜汗痰多咳嗽多臥少起黃 附子包 鹿茸酒蒸 地骨皮續斷

石斛 白芍藥 人參 川芎 當歸 小草 各一錢, 甘草 灸五分 左剉 作一貼 入薑五

棗二 水煎服) (得效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