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요법

쓸개 질환 치료에 좋은 음식

세태풍자 2008. 12. 12. 13:18
반응형

쓸개 질환 치료에 좋은 음식


1) 담석증을 예방하는 식이요법
①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억제한다.
콜레스테롤을 많이 섭취하면 담석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달걀, 버터, 새우, 동물의 간 등 동물성 지방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되도록 삼가한다.
② 식물성 섬유를 많이 먹는다.
현미나 배아미, 콩, 채소,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적극 섭취한다.
③ 하루 세 끼, 제시간에 식사한다.
담석증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는 규칙적인 식생활이 매우 중요하다. 매일 아침·점심·저녁 세 끼를 꼬박꼬박 챙겨 먹도록 하고, 가능하면 제시간에 먹는다. 불규칙한 식사습관은 담관이나 담낭에 담즙이 고이게 해 발작의 원인이 된다.
④ 자극성이 강한 식품은 피한다.
자극이 강한 향신료, 탄산음료, 커피, 알코올 등 갑작스럽게 위액 분비를 촉진하는 식품은 삼가한다. 위액으로 인해 담낭이 수축하여 심한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2) 매실차 - 담석증 발작시의 통증을 완화시킨다
매실에는 담즙의 분비를 활성화시키고, 담낭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어 담석이 생기거나 커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매실·오매 등의 약효는 비슷하지만,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는 데는 오매의 효력이 특히 뛰어나다.
오매는 탕으로 달여 하루 1회 따뜻하게 마시면 담석증을 예방해주고, 매실은 차로 끓여 마시면 담석증의 격심한 고통을 부드럽게 진정시킨다.
* 만드는 법 *
 재료 : 매실장아찌 2~3개, 생강 1쪽, 설탕 1작은술, 녹차 1작은술, 물 1컵
① 매실장아찌는 찬물에 살짝 헹구고 생강은 씻어 껍질을 벗겨 곱게 채썰듯 다진다. 녹차는 진하게 우려 준비한다.
② 매실장아찌를 넓은 그릇에 담고 다진 생강과 설탕을 넣어 매실장아찌에 맛이 배어들도록 고루 섞는다.
③ 고루 섞은 매실장아찌에 진하게 우러난 녹차를 붓고 다시 한 번 휘저어 매실맛이 우러나게 한다.
 ** 맛의 특징 : 생강의 효능으로 인해 몸이 따뜻해진다. 신맛이 싫은 사람은 설탕을 넉넉히 넣는다.

 

3) 수양버들 달인 물 - 담석을 녹인다
수양버들에는 이뇨 작용과 완화 작용이 있는 외에도 타닌을 포함하고 있어 담석을 녹여주고 황달에도 약효를 낸다. 생약명으로는 *편축*이라 한다. 약으로 쓰이는 어린 싹 부분은 6~7월경에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서 말려서 쓴다.
* 만드는 법 *
① 수양버들잎을 흐르는 물에 씻어 소쿠리에 담아 햇볕에 잘 말린다.
② 말린 수양버들 5~15g 정도를 냄비에 담아 물 3컵을 부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다.
③ 이 물을 하루 2~3회 복용한다.

 

4) 옥수수 수염 달인 물 - 쓸개의 기능을 돕는다
옥수수 수염에는 쓸개즙의 분비를 돕는 작용과 혈액 속의 지방량을 줄이는 약효가 있다.
담낭염이나 담석증에는 말린 옥수수 수염 30g에 물 3컵을 붓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 하루 3회씩 꾸준히 복용하도록 한다.
옥수수 수염 20g에 민들레뿌리와 사철쑥 9g을 함께 넣고 달여 마셔도 좋은 효과를 낸다.

 

5) 곤약 찜질 - 담석증을 예방해준다
곤약의 성분 중 70%가 수분이므로 이것을 섭취하게 되면 대장에서 그 수분이 한번에 방출되어 뛰어난 이뇨 효과를 낸다. 또한, 글루코만난이라는 식물성 섬유가 들어있어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을 흡착하고, 장을 자극해 변비 증세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므로 담석증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담석증으로 인한 심한 복통에는 곤약으로 따뜻한 찜질약을 만들어 아픈 부위에 올려 놓으면 통증이 서서히 가라앉는다.

 

6) 삶은 고구마 - 담석증의 발작을 예방한다
비타민 A의 근원이 되는 카로틴과 비타민 B, 비타민 C, 미네랄 등이 풍부해 좋은 약효를 낸다.
고구마에는 식물성 섬유가 감자의 2배나 들어있어 담석증의 발작 원인이 되는 변비를 다스리고 비만증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식품이라도 과식을 하게 되면 독이 되듯이 배에 가스가 차고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니 섭취량을 하루에 200g 정도로 제한한다.
입맛에 맞게 삶거나 쪄서 먹는데 삶은 것은 황달에 잘 듣고, 찐 것은 피로 회복과 식욕 증진에 효과가 있다.

 

7) 연근 - 섬유소가 담석을 씻어내준다
연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과 섬유소. 특히 이 섬유소는 장벽을 적당히 자극하여 장의 활동을 활발히 하도록 촉진시키고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므로 담석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 담석을 자연스레 씻어내어 주기도 한다 해서 예부터 많이 이용되어 왔다.
먹는 방법은 연근을 강판에 갈아 약한 불에서 졸여 마치 엿처럼 만들어서 아침·저녁 2번, 1숟가락씩 먹도록.


8) 그밖에 효과가 있는 식품
담석증을 예방하려면 고단백, 저지방으로 식물성 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적극 섭취하도록.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는 도미, 넙치, 가자미 등의 흰살 생선과 탈진 분유, 치즈 등의 유제품을 들 수 있다.
채소류로는 시금치, 당근, 호박, 브로콜리 등 녹황색 채소와 콩류, 뿌리채소류에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다.
곡류로는 현미나 배아미, 오트밀 등에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고, 율무는 껍질째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양파에는 담의 결석을 예방·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육류를 즐겨 혈액이 산성화되어 있는 사람은 생양파를 자주 먹도록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