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요법

뇌질환 치료에 좋은 음식

세태풍자 2008. 12. 20. 14:38
반응형

뇌질환 치료에 좋은 음식


1) 떫은 감즙 - 타닌이 풍부해 뇌졸중을 예방한다
감의 떫은 맛을 내는 타닌이라는 성분은 비타민 P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혈관을 튼튼하고 탄력있게 해준다. 또한 혈압을 낮추어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을 예방한다. 7~8월에 떫은 감을 따서 1컵 정도 되게 즙을 내고, 거기에 1컵 분량의 무즙을 섞어 하루에 3회, 1주일 동안 마신다. 효과는 천천히 나타나므로 조급해하지 말고 1주일쯤 쉬었다가 다시 되풀이한다.
* 만드는 법 *
① 떫은 맛이 강한 푸른색 감을 골라 꽃받침을 떼내고, 분마기에 넣어 간다. 금속제 분마기는 피하도록.
② 곱게 갈아 놓은 감을 큰 대접에 옮기고 자작할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5~6일 정도 그대로 둔다.
③ 불린 감을 거즈에 싸서 꼭 짠다. 즙은 밀폐용기에 담아 6개월 동안 서늘한 곳에 두었다가 마신다.
  모든 떫은 맛은 변비를 일으키므로 변비가 심한 사람은 주의요망

 

2) 우엉죽 -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우엉에 들어 있는 이눌린 성분이 신장의 기능을 도와 몸에 쌓여 있는 노폐물의 배설을 순조롭게 한다. 그 외에도 풍부한 식물성 섬유가 많이 들어 있어 혈압을 높이는 변비 증세를 해소한다.
이런 성분들의 작용으로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혈액 순환도 좋아져 뇌졸중에 효과가 매우 높다.
무엇보다 꾸준히 먹는 것이 중요하다.
* 만드는 법 *
 재료(4인분) : 우엉 50g, 쌀 200g, 물 4컵, 당근 10g, 양파 10g, 굵은 파 조금
① 우엉은 껍질째 맑은 물에 씻은 다음 연필 깎듯이 돌리면서 얇게 깎아 물에 담가둔다.
② 쌀은 미리 물에 담가 불린다.
③ 우엉은 동글썰기하고 당근, 양파와 굵은 파는 잘게 다진다.
④ 우엉과 쌀을 냄비에 넣고 볶는다.
⑤ 물 4컵을 붓고 끓이다가 쌀알이 풀어지면 다진 야채를 넣고 다시 한 번 푹 끓인다.
 ** 맛의 특징 : 우엉에 들어 있는 떫은 맛으로 인해 조금 쌉쌀한 맛이 있긴 하지만 소금으로 간을 해서 먹으면 부드럽고 비위가 약한 사람도 먹기가 좋다.

 

3) 솔잎 달인 물 - 오가피·쇠무릎을 넣어 달이면 효과가 더욱 좋다
솔잎은 순환기 계통의 질환에 아주 잘 듣는 약재, 그러므로 뇌졸중(중풍) 뿐만 아니라 고혈압·당뇨병에 아주 좋은 민간약이다. 솔잎은 날것으로 먹기 어려우므로 그늘진 곳에서 말렸다가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거나 말린 솔잎을 달여 마셔도 좋다. 이때 솔잎만 달이는 것보다 오가피와 한약방에서 우슬이라 불리는 쇠무릎을 함께 넣어 달이면 효과를 보다 빨리 볼 수 있다.
* 만드는 법 *
① 공해가 없는 깊은 산 속의 솔잎을 구해 깨끗이 씻은 후, 그늘진 곳에서 바싹 말려놓는다.
② 오가피는 한약 건재상에서 파는 것으로 구입하고 쇠무릎은 길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이므로 뿌리째 뽑아 말린다.
③ 솔잎·오가피·쇠무릎 10g을 섞어서 물 2리터를 붓고 끓이다가 물이 반으로 줄어들면 불을 끄고 식힌 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음료 대신 자주 마신다.

 

4) 무말랭이 삶은 물 - 혈관을 튼튼하게 한다
무의 껍질에는 모세혈관을 강하게 하는 비타민 B가 들어 있어 혈관을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옛부터 뇌졸중으로 반신마비가 왔을 때는 무밥을 해 먹는 민간요법이 전해지고 있으며, 무와 생강을 강판에 갈아 함께 먹거나 무말랭이 삶은 물을 마셔도 효과가 있다.
* 만드는 법 *
① 냄비에 무말랭이 한 줌을 넣고 물 2컵을 부어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푹 끓인다.
② 물이 줄면 거즈로 짜서 그 물을 받아 하루에 2~3회로 나누어 마신다.

 

5) 삶은 콩 - 뇌졸중으로 쓰러져 말을 못할 때
콩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양질의 단백질과 사포닌이 혈관에 붙어 있는 지방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혈관의 탄력성을 유지해 준다.
또한 콩에 포함된 지방에는 리놀레산이 많이 들어 있어 혈압을 내리게 하고 뇌졸중을 예방해 준다.
콩을 죽이 될 정도로 푹 삶아서 꾸준히 먹으면 뇌의 혈관을 재생시키고, 뇌졸중으로 쓰러져 말을 못 하는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다.

 

6) 양파 달인 물 - 혈전을 예방·치료한다
양파에는 고혈압을 막아 주고 혈전을 예방하거나 이미 발생된 혈전을 녹여 주는 성분이 들어있다.
양파는 또 양질의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하며, 혈관을 강화시켜 주는 비타민 C도 많이 들어 있어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우리가 흔히 벗겨 버리는 엷은 갈색 껍질에는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달여 마시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7) 목이버섯 - 피를 맑게 해주는 단백질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다
여름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뽕나무·졸참나무 등에 기생하는 목이버섯은 생김새가 사람의 귀와 비슷하다 하여서 목이버섯이라 불린다. 목이버섯에는 다른 버섯류에 비해 양질의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고, 섬유소·비타민 B2, 비타민 D2인 에르고스테롤이 들어 있다. 특히 목이버섯의 단백질은 피를 맑게 하는 성분이 있어 목이버섯을 조금만 먹어도 혈액의 응고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항응혈 작용이 혈액의 점도를 내려, 심장병과 뇌졸중을 예방해 준다고 한다. 목이버섯은 일년 내내 마른 것을 구할 수 있으므로 각종 요리에 넣어 이용하도록 한다. 사용할 때에는 물에 불린 후 쓰도록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