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금강화탕 ; 淸金降火湯 (古今醫鑑)
(조성)
진피 1錢5分, 반하 1錢, 복령 1錢, 길경 지각 패모 전호 행인 황금 석고 괄루인
各 1 錢, 감초 3分
(용법)
생강 3편을 가하여 물로 달여서 공복에 복용한다.
(효능)
淸肺降火․和痰止咳
(적응증)
폐위(肺胃)의 화울(火鬱)로 인하여 기침하고, 숨이 가쁘고, 가래는 적으나 누
렇고 끈적끈적하며, 목구멍이 답답하고, 얼굴색은 붉으며, 구갈이 있고, 혀는
붉으며 황태가 있고, 맥은 삭(數)한데 쓴다.
(처방해설)
본방은 폐위(肺胃)의 울화가 진액을 작상(灼傷)하여 담(痰)을 만들고, 담은
기(氣)의 흐름을 막아서 기침하고 또 숨찬 증상에 쓴다. 치법은 당연히 폐위
(肺胃)중의 화(火)를 사(瀉)하여 화를 내리면 담은 사라지고 기침을 그치게 된
다. 고로 방중에 황금은 청금(淸金)하여 강화(降火)하고, 석고는 폐위의 울화
를 청설(淸泄)시키고, 패모, 괄루인은 청폐(淸肺)하여 담을 없앤다. 진피, 반하,
복령 감초는 담을 제거하며 이기(理氣)작용을 하고, 전호 행인은 강기(降氣)하여
기침을 그치게 한다. 지각 길경은 선폐(宣肺)하여 순기(順氣)시키고 더불어 강
기(降氣)하여 담(痰)을삭히는 의의가 있다.
<사용의 실제>
(임상응용)
폐가위에 열이 있어 기침이 나지만 가래는 적고 얼굴이 붉어지면서 가슴이 답
답하고 갈증이 나는데 쓴다.
(참고)
<方藥合編>
" 治熱嗽 能瀉肺爲之火 火降則 痰消嗽止
[열로 인한 해수를 다스리며, 폐와 위의. 화를 사할 수 있다. 화가 내리면 담이
꺼지고 해수가 멎는다.] "
<중의학대사전>
" 沈氏尊生書方. (功用)治肺胃痰火(藥品)陳皮 杏仁 各 一錢五分, 赤茯
半夏 桔梗 貝母 前胡 括樓仁 黃芩 石膏 各 一錢, 枳殼 八分, 甘草 三分,
(用法) 加生薑一片, 水煎服. 食後服"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풍산 ; 消風散 (醫宗金鑑) (0) | 2008.07.11 |
---|---|
치풍제(治風劑) (0) | 2008.07.10 |
감강미신하인탕 ; 甘薑味辛夏仁湯 (金匱要略) (0) | 2008.07.07 |
반하백출천마탕 ; 半夏白朮天麻湯 (醫學心悟) (0) | 2008.07.06 |
복령음 ; 茯苓飮 (金匱要略附方) (0) | 200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