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음 ; 茯苓飮 (金匱要略附方)
(조성)
복령 인삼 백출 各3兩, 지실 2兩, 귤피 2兩半, 생강 4兩
(용법)
물 6승(升)으로 달여서 1승(升)8합(合)으로 만들고, 3회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복용하는데, 사람이 8-9리(里)가는 정도의 시간을 둔다.
(효능)
健脾胃-消痰飮
(적응증)
음병(飮病)에 토(吐)한 후에 기(氣)가 꽉 차서 음식을 제대로 먹을 수 없는 증상
을 다스린다.
(처방해설)
본방은 음병(飮病)에 토한 후 비(脾)가 허해져서 운화(運化)를 제대로 할 수 없
어 만들어진 음(飮)이 심흉간(心胸間)에 머물러서 먹을 수 없는 증상을 다스린다.
건비위(健脾胃)하여 담음(痰飮)을 없애는데 공(攻)과 보(補)를 동시에 사용하여
비위(脾胃)를 조리(調理)한다.비(脾)가 허해지면 위(胃)로 진액을 보낼수가 없고,
수음이 정류하고 흉격부에 정체하여 가득히 되어 상역하므로 물을 토한다. 토
한 다음에 사기(邪氣)는 사라지나 정기(正氣)가 허하게 되므로 허기는 상역하고
흉부가 팽만하여 음식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복령으로 삼습(滲濕)시켜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인삼 백출로 비기(脾氣)를 강화하여 새로운 수음이 모이지 않게
한다. 생강 귤피 지실은 위(胃)의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수음을 구제하고, 담기
(痰氣)를 제거하여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임상응용)
위부팽만감․위액분비과다에 의한 오심, 구토, 식욕부진에 사용된다. 위염,위하
수,위신경증,위확장증,유음증,소화불량 등에 쓴다.
(참고)
<金匱要略附方>
" 治心胸中有停痰宿水, 自吐出水後, 心胸間虛, 氣滿, 不能食, 消痰氣,
令能食
[심와부에 담음과 수음이 정류하고 있는 것을 고친다. 수음을 토해낸 다음 심와
부는 허하게 되고 기가 가득차고 먹을 수가 없다. 담기(痰氣)를 해소시키면 먹을
수가 있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강미신하인탕 ; 甘薑味辛夏仁湯 (金匱要略) (0) | 2008.07.07 |
---|---|
반하백출천마탕 ; 半夏白朮天麻湯 (醫學心悟) (0) | 2008.07.06 |
금수육군전 ; 金水六君煎 (景岳全書) (0) | 2008.07.03 |
가미온담탕 ; 加味溫膽湯 (醫宗金鑑) (0) | 2008.07.02 |
이진탕 ; 二陳湯 (和劑局方) (0) | 200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