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감강미신하인탕 ; 甘薑味辛夏仁湯 (金匱要略)

세태풍자 2008. 7. 7. 13:25
반응형
 

감강미신하인탕 ; 甘薑味辛夏仁湯 (金匱要略)


(조성)

복령 4兩, 반하 半升, 감초 3兩, 오미자 半升, 건강 3兩, 세신 3兩, 행인 半升


(용법)

위의 약재들을 물 1두(斗)로 달여  3승(升)으로 만들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반승

(半升)을 따뜻하게 하여 1일3회 복용한다.


(효능)

溫肺化水飮∙宣利肺氣


(적응증)

수사(水邪)가 제거되고 구토가 멈추었는데도 신체에 부종이 나타날때  쓴다.


(처방해설)

 환자가  영감강미신하탕을 복용한 다음 수사(水邪)가   제거되고,  구토가 멈

추었는데도 신체에 부종을 볼 수 있는 것은  기(氣)가 부상하기 때문이며,  이

것은  지음(支飮)이 부종의 형(型)으로 나타난  증후이다.  앞의 처방에 행인을

가하여  폐기(肺氣)를 열어줌으로써 주치한다.  폐기가 열리면 수음(水飮)이 동

하고 부종(浮腫)은 자연히  사라진다. 원래 부종(浮腫)에 대해서는 마황을 사용

해야  되지만, '척맥미(尺脈微)' '수족비(手足痺)'등 증(證)으로 진양(眞陽)이 허

하므로 가할 수 없다.  만약에 금기를 위반하여 마황을 사용하여 부종을 제거하

려면 양기가 손상되어 더욱 허해지므로 궐역(厥逆)의 병변이 생긴다. 그래서 

영감강미신하탕에 행인을 가하여 선리폐기(宣利肺氣)하여 부종을 제거하는 것이

다.


(임상응용)

노인성 만성기관지염,기관지천식,심장쇠약,신장병


(참고)

<金匱要略>

 " 靑龍湯下已,多唾口燥,寸脈沈,尺脈微,手足厥逆,氣從少腹上衝胸咽,手足

痺,其面翕熱如醉狀,因復下流陰股,小便難,時復冒者,與茯 桂枝五味甘草湯治

其氣衝 

[소청룡탕을 복용한다음,담이나 침을 아주  많이 밸아내고,  입안이 건조하며, 촌

맥이 침을 나타내고,  척맥이 미를  나타내며,  수족이 싸늘해지고 기가 아랫배

에서 가슴과 목으로 상충하며  수족이  마비되고, 환자의 얼굴이 술을 마셔  취

한것처럼 뜨겁고 또  붉어진다.  잠깐 있으면 또 기가 아래로 향해 고간부(股間

部)에 이르러 소변이  잘 안나오고, 어떤 때는 머리가 어지럽고 현기증이 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영계미감탕을 주어 기가 상충하는 것을  치

료한다.]

 "苓桂味甘湯 處方 ; 茯苓 四兩, 桂枝 四兩, 甘草 四兩, 五味子 半升 "

 " 衝氣卽低, 而反更咳,  胸滿者, 用桂苓五味甘草湯去桂, 加乾薑, 細辛, 以

治其咳滿 

[영계미감탕을 복용한 다음 기의 상역은 가라앉지만 오히려 기침이 늘어나고 흉

부가 팽만하는 경우에는 영계미감탕에서 계지를 거하고,건강 세신을 가한 것을

복용하여 기침과 흉부의 팽만을 치료한다 ] "


 "苓甘薑味辛湯 處方 ; 茯苓 四兩, 甘草 三兩, 細辛 三兩, 乾薑 三兩, 五味

子 半升 ""咳滿卽止, 而更復渴, 衝氣復發者, 以細辛,  乾薑爲熱藥也,  服

之當遂渴,而渴反止者,爲支飮也,支飮者,法當冒,冒者必嘔,嘔者復內半夏, 以

去其水 

 [영감강미신탕을 복용한 다음 기침과 흉부의 흉만이  아주 좋아졌는데도 또

입안이 마르고 기의 상역이  재발했다. 이것은 세신 건강이 열약하기 때문이며,

열약을 복용했기 때문에 당연히 입안이 마르지만, 지금은 오히려  마르지 않는

것은 지음이 있기 때문이다. 지음병을 앓고 있으면 일반적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현기증이 나는데, 머리가  어지럽고 현기증이 나는 사람은 구토하기 쉽다. 구토

를 한다면 다시 반하를 넣어  수음을 제거해야 한다.] "


" 苓甘薑味辛夏湯 處方 ; 茯苓 四兩, 甘草 二兩, 細辛  二兩, 乾薑  二兩,

五味子 半升, 半夏 半升" " 水去嘔止, 其人形腫者, 加杏仁主之, 其證應內

麻黃, 以其人遂痺, 故不內之,若逆而內之者, 必厥. 所以然者, 以其人血虛,

麻黃發其陽故也 

 [영감강미신하탕을 복용한 다음 수음은 제거되고  구토가 정지하는데, 환자의

신체에 부종을 볼 수  있으므로 전기의 처방에  행인을 가해서 주치해야 한다.

이 증후는  본래는 마황을 가해야 하지만   환자가 수족에 마비를 느끼고  있으

므로 가해서는 안된다. 만일 금기에  위반하여 마황을 사용한다면 환자는 반드

시  수족이 냉해진다. 이것은 환자의 혈이 허하게  되어있는데다가 다시 마황으

로 발한시켜 환자에가  양기를 잃게 했기 때문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