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행의감탕 ; 麻杏薏甘湯(傷寒論. 金匱要略)
(조성)
麻黃(去節 湯抱) 半兩, 杏仁(去皮尖) 十個, 薏苡仁 半兩, 甘草(炙) 一兩
(용법)
이상의 약물을 마두(麻豆)의 크기로 썰어서 매회 4전(錢)에 물 1.5잔을 넣어 8
분(分)이 되도록 달여 온복(溫服)시키고 약간의 땀이 나게하되 바람을 쐬지 않
도록 한다.
(효능)
發汗解表 祛風化濕 止咳平喘
(적응증)
․풍습증(風濕証) : 땀을 흘리면서 갑자기 바람을 쏘이거나, 오랫동안 냉(冷)
에 상(傷)하여 풍습의 사기(邪氣)가 체표에 머무른 결과 전신의 관절이 몹시
아프고 열이 나며 해질무렵에 더욱 심한 증상에 쓴다.
․풍수(風水) : 안검부종(眼瞼浮腫)과 전신부종에 있으며 증상이 빠르게 진행한
다. 바람이 싫고 열이 나면서 관절이 시고 아프다. 해수(咳嗽)가 있고 설태는 앓
고 백색이다. 맥은 부삭(浮數)하다.
․풍진(風疹) : 피진(皮疹)의 색이 붉고 전신에 퍼져 있으며 바람을 싫어한다.
열이 나고 설태는 앓은 백색이며 맥은 부삭(浮數)하다. 땀을 흘릴 때 바람을 쏘
이고 다시 습사(濕邪)가 겹치면 풍습상박(風濕相搏)으로 위분(衛分)에 뭉쳐서
생긴 증상이다. (이때는 선퇴를 가할 수 있다.)
(처방해설)
본방은 마황탕에서 계지와 마행감석탕에서 석고를 거하고 대신에 의이인을 가
미하여 약효를 변화시켜 마황탕이나 마행감석탕과는 치료대상이 다르다. 마황과
행인은 체표의 풍습(風濕)을 발산시키고 천해(喘咳)를 진정시키며 해열한다. 의
이인은 건위(建胃) 이습(利濕) 소염(消炎) 배농(排膿)의 효과가 있으며, 근육의
경련을 완화시키고 피부의 혈조(血燥)를 부드럽게 한다. 감초는 다른 약들을 조
화시키면서 진통(鎭痛)시킨다.
(임상응용)
급성다발성 관절염(急性多發性關節炎), 저녁때 심한 관절염, 류마치스성 관절염,
류피치스성 근육통, 신경통, 근육통, 임신성부종, 위염(胃炎)
(참고)
<金匱要略>
病者一身盡疼, 發熱, 日哺所劇者, 明風濕. 此病傷于汗出當風, 或久傷取冷
所致也, 可與麻黃杏仁薏以甘草湯 환자의 온몸이 쑤시고 아프며 발열하되
해질무렵에 더욱 심한 것은 풍습(風濕)이다. 이 병은 땀이 날때 바람에
쏘이거나 찬기운을 오래 쏘인데서 비롯된 것이니 마황행인의이감초탕을
쓰도록 한다.
<東醫寶監>
麻杏甘湯 治風濕身疼不能轉側 日哺加劇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탕 ; 二陳湯 (和劑局方) (0) | 2008.07.01 |
---|---|
거담제(祛痰劑) (0) | 2008.06.28 |
진무탕 ; 眞武湯 (傷寒論) (0) | 2008.06.26 |
대방풍탕 ; 大防風湯 (和劑局方) (0) | 2008.06.25 |
독활기생탕 ; 獨活寄生湯 (千金方) (0) | 2008.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