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풍탕 ; 大防風湯 (和劑局方)
(조성)
川芎. 附子(炮 去皮) 各 1兩半, 熟乾地黃(洗). 白朮. 防風(去蘆). 當歸(洗去蘆
酒浸 焙炒). 白芍藥. 黃耆. 杜仲(去粗皮 炒令絲斷) 各 2兩, 羌活(去蘆). 人蔘(去
蘆). 甘草(炙). 牛膝(去蘆 酒浸 切 微炒) 各 1兩(용법)
위의 약물을 가루로 만들어 매회 5전(錢)을 물 1잔반(盞半)에 생강 7편,대추
1개를 넣어 8분간 달인후 찌꺼기를 버리고 식전 공복에 온복(溫服)한다.
(효능)
祛風濕∙强筋骨∙補益氣
(적응증)
거풍순기(祛風順氣)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하며 근골(筋骨)을 건장하게하고
한습(寒濕)과 냉기(冷氣)를 없앤다. 또한 설사를 한후에 다리가 아프고 마비감이
있으며 약해져서 걸을 수 없는 소위 풍리(風痢)를 치료한다. 혹은 양무릎이 붓
고 아프며 다리 정갱이가 여위어 가죽과 뼈만 남아 있고 당기고 경련이 일어나
일어나지 못하며 굴신할 수 없는 소위 학슬풍(鶴膝風)에 복용하면 기혈(氣血)
이 잘 흐르고 통하며 기육(肌肉)이 점점 생겨나 옛날처럼 다시 걸을수 있게 된
다.
(처방해설)
기혈(氣血)이 허약하고 간신(肝腎)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풍한습사(風寒濕邪)
가 근골(筋骨) 혈맥(血脈)에 뭉쳐서 발병한 상태에 쓰이는 처방이다.
방풍은 풍습사(風濕邪)를 제거하고 천궁. 당귀. 백작약. 숙지황은 사물탕의 효능
을 가지고 있어 보혈(補血) 행혈(行血)하며, 인삼, 백출, 자감초는 기를 보하고
위장의 기능을 정상화하며, 강활. 독활은 방풍의 풍습제거를 도와주고, 두충, 우
슬은 간신을 보하고 하총의 기능을 도와주며, 포부자는 온경산한(溫經散寒)하고
통증을 제거해준다. 이상의 약물이 조합하여 정기(正氣)를 돕고 사기(邪氣)를
제거하여 풍한습사(風寒濕邪)를 제거하며 기혈(氣血)을 보하고 근골(筋骨)을 튼
튼하게 한다.
(사용의 실제)
육계를 빼고 당귀와 생강을 가하여 쓰기도 한다 (경악전서).
(임상응용)
관절염. 류마치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특히 무릎관절염에 잘 듣는다. 학슬
풍. 근육마비. 슬퇴통(膝腿痛). 척수질환. 반신불수. 각기
(참고)
<和劑局方>
"祛風順氣, 活血脈], 壯筋骨, 除寒濕, 逐冷氣. 又治患痢後脚痛 弱, 不能
行履, 名曰 [痢風]., 或兩膝腫大痛, 髀脛枯臘, 但存皮骨, 拘攣栓臥, 不能屈
伸, 名曰 [鶴膝風], 服之氣血流暢, 肌肉漸生, 自然行履如故.[적응증 참조] "
<景岳全書>
"治足三陰虧損寒濕外邪乘虛內侵患鶴膝附筋骨等疽不問已潰未潰宜先用此
及治痢後脚膝 痛不能動履名曰痢後風此藥祛風順氣活血壯筋骨行履如故
[족삼음(足三陰:肝․腎․脾)이 부족하여 한습(寒濕)의 외사가 허한 틈을 타 속
으로 침투해서 학슬(鶴膝:무릎관절염)과 근골의 염증에 궤양이 있든없든 우선 이
약을 쓰면 치료된다. 또한 설사를 한 후에 다리와 무릎이 약하고 통증이 있어서
걸을 수 없는 것, 소위 이후풍(痢後風)을 치료하며 이 약은 풍을 제거하고 기를
순행시키며 혈액순환을 잘 시켜 근골을 건장하게 하며 엣날처럼 걸을 수 있다.] "
" 人蔘 白朮 防風 羌活 各 2錢, 黃1錢, 熟地 杜仲 各 2錢, 官桂 甘草(灸)
各 5分, 白芍 牛膝 附子 川芎 錢半 水煎服 一方有當歸無官桂加薑七片"
<東醫寶鑑>
" 治鶴膝風 熟地黃 一錢半 白朮防風當歸白芍藥杜仲黃 各一錢附子川芎牛
膝羌活人蔘甘草各五分右 作一貼薑五片棗二枚水煎服祛風順氣活血 壯筋骨 "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행의감탕 ; 麻杏薏甘湯(傷寒論. 金匱要略) (0) | 2008.06.27 |
---|---|
진무탕 ; 眞武湯 (傷寒論) (0) | 2008.06.26 |
독활기생탕 ; 獨活寄生湯 (千金方) (0) | 2008.06.24 |
계지작약지모탕 ; 桂枝芍藥知母湯(金匱要略) (0) | 2008.06.23 |
영계출감탕 ; 苓桂朮甘湯 (傷寒論) (0) | 200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