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구려는 중국사 일부, 한국사는 대동강 이남' | ||||||||||||
미디어다음 / 신동민 기자 media_dongmin@hanmail.net | ||||||||||||
고구려사가 통째로 도둑맞을 위기에 처했다. 중국은 움직일 수 없는 한민족(韓民族)의 고대사인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통합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내며 한국의 역사를 뒤흔들고 있다. 지금 중국은 확인되지 않은 가설을 통해 '고구려는 중국 변방의 소수민족일 뿐이며,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와 학계는 20년 가까이 용의주도하게 고구려사를 폄하, 왜곡하고 있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실태는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지난해 7월 9일. 중국 장춘에서는 100여명의 학자가 참여한 대규모 세미나가 열렸다. 무려 5일 동안 계속된 세미나에서 중국 학자들은 고구려에 관련된 논문을 70여편이나 쏟아냈다. 90년대 이후 중국 학자들이 발표한 고구려 관련 논문은 전체 목록조차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중국 정부와 학자들은 구체적인 연구 성과를 외부로 공개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중국의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역사학자들이 자료를 수집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중국의 연구 내용은 지난 6월 중국 '광명일보'에 게재된 논문이나 한국 역사학자들이 개별적으로 얻어낸 단편적 자료를 통해서나마 알려지고 있다. 중국 학자들은 고구려사를 훔쳐가기 위해 어떤 주장을 하고 있을까.
중국 학자들의 고구려 연구는 한국사의 일부 또는 한·중 공동의 역사로 인정 받던 고구려사를 중국사로 완전 편입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구려를 설립한 민족을 한민족과 분리시켜야 한다.
중국 학자들은 고구려가 현재 중국의 국경 내에서 건국되었다는 점도 유난히 강조하고 있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기 때문에, 민족 중심의 역사 기술이 아닌, 현재 중국의 영토를 중심으로 역사 기술을 해왔다. 이 때문에 셀 수 없는 소수민족의 역사가 중국 역사로 편입됐다. 같은 이유로 지금까지 한민족의 역사였던 고구려사를 새삼 중국사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중원왕조가 고구려의 세자 책봉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도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킬 때의 주요 논거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 왕들이 중원왕조에게 공물을 바치고 인질을 보내 스스로 중국의 변방 정권을 자처했다'는 주장한다.
중국의 '고구려 흔들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427년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상황을 두고 중국 학자들은 '현재의 중국 영토 바깥으로 고구려사 중심이 옮겨졌지만, 여전히 고구려는 중국 변방의 역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 학자들은 고조선 이후 한반도 북부에 한사군(漢四郡)이 설치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한민족의 역사적 근거는 대동강 이남에 국한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영토에서 벌어진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한다'는 그들의 역사 기술을 원칙을 깨뜨리면서, 중국의 역사 범위를 한반도 북부 지역까지 확장시킨 것이다.
중국은 중국 국경 내에 있는 고구려 문화유적을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해 '고구려 유적은 중국 안에 있다'는 사실을 세계적으로 공인 받으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중국은 고구려 첫 도읍지 졸본성(卒本城)자리인 랴오닝(遼寧)성의 환런(桓仁)과 두 번째 도읍지 국내성(國內城)터인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일대의 고구려 유적군을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받기 위해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에 앞서 북한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02년 유네스코 총회에 평양의 고구려 벽화 고분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시키려 했지만 결국 중국이 이의를 제기해 실패했다. 한국외국어대 여호규 교수는 '중국이 북한 지역의 고구려 유물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는 것을 막은 것은 자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을 등록 시키기 위한 사전작업'이라며 '중국이 의장국 지위를 이용해 고구려 유적을 중국의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시키면 세계적으로 '고구려 문화유산이 중국에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게 된다'고 우려했다.
중국 학자들의 주장은 결과를 정해 놓고 역사를 꿰 맞춰 들어간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한국사의 주요 무대인 압록강변에서 태동해 한족의 세력을 몰아내며 건국한 고구려의 정체성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세자책봉, 공물 제공 등은 각 시기 국제 역학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 학자들의 주장을 따른다면 중국왕조로부터 세자 책봉을 받은 백제와 신라도 중국사에 포함돼야 한다. 학계에서는 '중국과의 역사 전쟁은 이제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선제 공격을 위한 준비를 철저하게 하고 있어 출발이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취재 중 만난 한 한국학 교수는 '중국이 도대체 얼마나 많은 연구 성과를 내놓았는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며 '연구 성과를 한꺼번에 터뜨리면서 전방위적 공세에 나설 경우 우리는 눈뜨고 고구려사를 통째로 잃을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