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責子 책자 자식을 나무람 陶淵明 도연명
白髮被兩빈 [백발피양빈]
肌膚不復實 [기부불부실]
雖有五男兒 [수유오남아]
總不好紙筆 [총불호지필]
阿舒已二八 [아서이이팔]
난惰故無匹 [난타고무필]
阿宣行志學 [아선행지학]
而不愛文術 [이불애문술]
雍端年十三 [옹단년십삼]
不識六與七 [불식육여칠]
通子垂九齡 [통자수구령]
但覓梨與栗 [단멱이여율]
天運苟與此 [천운구여차]
且進杯中物 [차진배중물]
백발은 양쪽 구레나룻을 덥고
피부도 예전같이 실하지 못하네
비록 다섯 아들이 있기는 하나
하나같이 글을 좋아하지 않네
서는 나이 벌써 열여섯이건만
둘도 없는 게으름뱅이이고
선은 이제 열 다섯 살이건만
글 쓰는 것을 아예 싫어하네
옹과 단은 둘 다 열세 살인데
여섯과 일곱도 분간 못 하네
통이란 놈은 아홉 살이 되었지만
항상 먹을 배나 밤만을 찾네
타고난 자식운이 이 지경이니
다 그만두고 술이나 먹을 수 밖에
반응형
'고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없이 몸만 늙어/두보 (0) | 2008.11.21 |
---|---|
感 興 감 흥/白居易 백거이 (0) | 2008.11.20 |
산중 산 속에서/왕유 (0) | 2008.11.06 |
感 興 감 흥/白居易 백거이 (0) | 2008.10.29 |
가을의 정취/두보 (0) | 200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