醉時歌 [취시가] 술에 취하여/杜甫 두보
諸公袞袞登臺省 [제공곤곤등대성]
廣文先生官獨冷 [광문선생관독냉]
甲第紛紛厭粱肉 [갑제분분염량육]
廣文先生飯不足 [광문선생반부족]
先生有道出羲皇 [선생유도출희황]
先生有才過屈宋 [선생유재과굴송]
德尊一代常坎軻 [덕존일대상감가]
名垂萬古知何用 [명수만고지하용]
杜陵野老人更嗤 [두릉야노인경치]
被褐短窄빈如絲 [피갈단착빈여사]
日적太倉五升米 [일적태창오승미]
時赴鄭老同襟期 [시부정노동금기]
得錢卽相覓 [득전즉상멱]
沽酒不復疑 [고주부복의]
忘形到爾汝 [망형도이여]
痛飮眞吾師 [통음진오사]
淸夜沈沈動春酌 [청야침침동춘작]
燈前細雨첨花落 [등전세우첨화락]
但覺高歌有鬼神 [단각고가유귀신]
焉知餓死塡溝壑 [언지아사전구학]
相如逸才親滌器 [상여일재친척기]
子雲識字終投閣 [자운식자종투각]
先生早賦歸去來 [선생조부귀거내]
石田茅屋荒蒼苔 [석전모옥황창태]
儒術於我何有哉 [유술어아하유재]
孔丘盜蹠俱塵埃 [공구도척구진애]
不須聞此意慘慘 [부수문차의참참]
生前相遇且銜杯 [생전상우차함배]
관료들 줄줄이 높은 벼슬 오르는데
광문선생 벼슬만이 홀로 쓸쓸하고
즐비한 고급저택 고량진미 넘치는데
광문선생 끼니조차 잇기 어렵구나
선생의 덕 복희씨 보다 뛰어나고
재주는 굴원과 송옥을 뛰어 넘는데
덕은 일세 제일이나 항상 불우하니
이름만 만고에 날린들 무엇하리
두릉의 촌 늙은이 사람들이 비웃으니
베옷마져 초라하고 머리칼은 헝클어져
태창미 닷 되를 사 하루하루 연명하며
때때로 정노인과 마음을 나누네
돈이라도 생기면 서로를 찾고
술을 사는 데는 눈치보는 일이 없이
겉치레를 버리고 너나하는 사이지만
흠뻑 취함에는 진정 나의 스승이네
밤은 깊어 가는데 술잔을 나누니
등잔 앞에 가랑비 처마 아래 지는 꽃
소리 높여 노래하니 귀신이 흥 돋우고
굶어 죽어 구덩이에 묻힐 걱정 잊었네
재주 있는 사마상여 잔 씻는 일을 했고
유식한 자운은 몸을 던져 죽었으니
선생도 일찌감치 귀거래사 읊으시게
자갈밭 황폐하고 이끼 띠 집 덮기 전에
유학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인가
공자도 도척도 모두 티끌 먼지 된 걸
이말 듣고 슬퍼할 것은 없으니
살아 만나는 동안 술잔이나 나누세
'고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정취/두보 (0) | 2008.10.15 |
---|---|
명절이 되면/왕유 (0) | 2008.10.07 |
홀로 앉아/서거정 (0) | 2008.09.29 |
두 마음을 녹이고 마네 (0) | 2008.09.17 |
그대가 오니/두 보 (0) | 200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