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2) 쌍화탕 ; 雙和湯 (和劑局方)

세태풍자 2007. 3. 17. 10:47
반응형

      2) 쌍화탕 ; 雙和湯 (和劑局方)

 

(조성)
백작약 7兩半, 당귀(洗, 酒浸), 황기(蜜炙),  천궁, 숙지황(淨洗,  酒蒸) 각 3兩, 감초(炙), 육계(去皮, 不見火) 각 2兩2錢半

 

(용법)
이상을 고운가루로 하고 2전을 취하여  물 1잔 반, 생강 3편, 대추  1개를 가하
여 6分이 될 때까지  달이고 공복, 식전에 복용한다. 생으로 된 것이나 냉한 과
일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효능)
調中益氣, 養血補虛

 

(적응증)
허로(虛勞)하여 힘이 없다, 팔다리가  권태롭다, 한열(寒熱)이 왕래한다, 움직이면 숨이 가쁘다,  얼굴이 누렇다,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다,  허한(虛寒)이나 도한(盜汗)이 있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처방해설)
  이 방제는 사물탕(四物湯)과 황기건중탕(黃 建中湯)의 합방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심력(心力)이 모두 피로하고 기혈이 모두 손상되었거나 과로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나  큰병을 앓고 난 후 허로 때문에  기가 결핍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증상을 다스린다."라 하였다.

  의학입문(醫學入門)에는 "음식을 아무 때나 들고 배가  고프거나  배가 부르
거나 노동으로 인하여 위기(胃氣)가 부족하게 되고 비기(脾氣)가  하함(下陷)하
여 숨이 가프고 힘이 없으며 한열(寒熱)을  견디지 못하고  아침 식사 후에도
정신이 혼미(昏迷)하며 권태롭고 팔다리를 잘 가누지 못하며 오심(五心)이  번
열(煩熱)하는 것을 다스린다."라 하였듯이 이 방제는 극도로 피로하고 권태로운 증상을 목표로 한다.

 

안색이 나쁘고 광택이 없다 피부가 거칠고 윤기가 없다 눈이 침침하다 눈이
피로하다 휘청거린다 동계(動悸)가 있고 사지마비감(四肢麻痺感)이 있다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혈허(血虛)에 대한 성약(聖藥)인  사물탕(四物湯)에,  신체가 허약하여 피로하기 쉬운 사람의 병후  쇠약,  도한(盜汗), 허약체질, 황한(黃汗)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황기건중탕(黃 建中湯)을 합방하여  기혈(氣血)이 모두 허한 증상을 다스리게 하였다.  또한 보기약(補氣藥)을 대표하는 황기와 보혈약(補血藥)을 대표하는 당귀가함유된 보혈탕(補血湯)의 방의(方義)도 포함되어 있다.

 

(사용의 실제)
복창(腹脹) 및 복착협(腹窄狹)에는 후박을 가하고 뱃속이 딱딱하면 사인을 가한다.

 

(임상응용)
내상외감 음양허 간허 폐결핵 늑막염 동맥경화증 위 12지장궤양 만성변비  간장병 황달 복통 당뇨병 과로 운동후 빈혈 치통 야뇨증 요통 탈모증   치질 탈항 자한 도한 유산후 또는 산후 허약 등에서 적응증에서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

 

  참고
<방약합편>
治氣血俱傷, 或房室後勞役, 或勞役後犯房,  及大病後氣乏自汗.  乃建中四
物合方也.기혈이 동시에  상했거나 방사 후에 노역했거나  노역 후에 방사  하였을 때, 큰병을 앓고  난 후에 기가 허하여 자한(自汗)하는  것을  다스린다. 사물탕과 건중탕의 합방이다.

 

<화제국방>
治男子, 婦人五勞, 六極, 七傷, 心身俱虛, 精血氣少,  遂成虛勞.  百骸枯 
, 四肢倦怠, 寒熱往來, 咳嗽咽乾, 行動喘乏,  面色 黃, 略有所觸, 易成他
疾.  或傷于冷, 則宿食不消, 脾疼腹痛, 瀉痢吐逆, 或傷于熱, 則頭旋眼暈,
痰涎氣促, 五心煩熱, 或因饑飽動作, 喜怒驚恐, 病隨而至, 或虛脹而不思食,
或多食而不生肌肉, 心煩則虛汗盜汗, 一切虛勞不敢服燥藥者,  宜服之.


 남자나 부인의 오로, 육극, 칠상으로 심신이 모두 허하고  정혈과 기가 약해져
서 생기는 허로를 주치한다. 백해가 고췌해 있다, 팔다리가   권태롭다, 한열이
왕래한다, 기침을 하고 목이  건조하다, 움직이면 숨이  가쁘다, 얼굴색이 누렇
다, 이곳 저곳이 쉽게 병에  걸린다, 냉에 상하여 숙식이 소화가  안되어 복통
이 있고 설사하며 구역질을 한다, 열에  상하여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담연이
있으며 숨이 가쁘고  오심이 번열한다, 굶거나 과식하여 희노경공이 지나친 결
과 병이 된다,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다, 식사량이 많더라도 새 살이 나지 않
는다, 심번한즉  허한,  도한이 난다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그리고 일체의 허
로 때문에 조약을  복용하지 못할 때 이를 복용하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