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貪人好聚財 - 寒山詩>
貪人好聚財(탐인호취재)
恰如梟愛子(흡여효애자)
子大而食母(자대이식모)
財多還害己(재다환해기)
散之卽福生(산지즉복생)
聚之卽禍起(취지즉화기)
無財亦無禍(무재역무화)
鼓翼靑雲裡(고익청운리)
탐욕 많은 사람이 재물을 모으는 것은
올빼미가 그 새끼를 사랑하는 것 같아,
그 새끼 자라 어미를 먹는 것처럼
재물이 많아지면 도로 내 몸 망치나니,
재물을 흩으면 복이 생기고
재물을 모으면 화가 생기나니,
진실로 재물도 없고 또 화도 없으면
저 푸른 구름 속에서 날개를 치리.
<貪人好聚財 - 寒山詩>
*梟(효, 올빼미) : 올빼미는 그 어미를 잡아먹는 불효의 새라 한다(梟, 不孝鳥也 - 說文解字)
반응형
'고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미 (0) | 2016.08.20 |
---|---|
거니촌 노인네 (0) | 2016.08.20 |
君相憶(군상억) 그대를 생각하며 (0) | 2016.08.14 |
閑居 (한가로운 거처) (0) | 2016.08.14 |
山亭夏日 [산정하일] (0) | 2016.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