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미국인 진실로 다른 점, 살펴보기
중국인과 미국인 글자그대로 세상에서 다른 점에 대해 새롭게 연구 한 바에 의하면 두 집단을 놓고 그림을 볼 때 눈을 움직이는 동작에서 명확히 다른 점을 발견 할 수 있다. Ann Arbor에 있는 Michigan 대학 심리학자 Richard Nisbett는 “만약 사람들이 세상을 다르게 본다면, 그들을 위한 특성을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을 생각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 수 십년이 넘도록 Nisbett와 그의 동료에 의해 사회과학적인 많은 연구결과가 보여주듯 동 아시아인과 서양인들이 생각을 다르게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점 들이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다. 서양인들은 “분석적인 경향으로 중요한 단서에 주의를 집중”시키거나 또는 초점, 장면속의 목표- 예를 들어, Mona Lisa그림 속에서 여자에 관심을 집중시키며 바위와 그녀의 뒤에 있는 반대쪽을 주시한다. 이와 반대로 동아시아인은 그림을 볼 때 전체 그림과 전후 관계에 대한 정보 파악에 의존하며 그들이 무엇을 볼지에 대한 판단과 결정을 내린다.
이 새롭게 연구되어진 결정에 대한 설계가 만약 동 아시아인과 서양인이 생각이 진행되면서 서양인과 동아시아인이 신체적인 차이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서로 어떻게 반향을 일으키는지를 밝혀낸바 있다. 연구관들은 미국인 45명에 대한 눈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그리고 중국 학생들의 사진을 쳐다보는 것처럼 복합적인 배경에 대해 특징을 이루는 단순 목표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예를 들어, 숲 속 개울에 있는 호랑이 상을 보여주고 또 다른 상으로 산을 배경으로 하여 그 위로 전투비행기가 날아가는 상을 보여 주었다. 그 그림을 주제로 하여 미국학생과 중국학생을 대상으로 평균 1초 동안 그림을 보여주는 실험을 실시했을 때 나타나는 다른 점을 Nisbett는 말하고 있는데 “미국인은 보다 빠르게 목표물에 초점을 맞추어 쳐다보고 그것을 쳐다보는 시간을 보다 많이 보낸다고 말했다.” “중국인은 순간적인 안구 운동을 보다 많이 했다.”(홱 움직이는 눈의 운동) 특별히 안구에 대한 전, 후 사이에 목표물과 (배경), 들판을 쳐다보는 시간이 많았다.
이러한 발견이 암시하는 것은 동 아시아 인은 글자 그대로 미국인 보다 주변 정황 속에 담겨있는 목표물에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낸다. 그 다른 점들은 단지 어떠한 개인적인 회상과 그들이 보고하는 기억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맨 처음의 장소 안에서 보이는 상을 신체적으로 어떻게 움직여 보느냐 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문화적인 차이
Nisbett은 어떠한 문화적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이 시점에서 하나의 추측이다. 하지만 Nisbett과 그의 동료가 암시한 바로는 아마도 사회적 실생활에 뿌리를 두고 수 천 년을 뒤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 할 수 있겠다. “서양인 들은 목표에 주의를 집중 시킨다고 생각하면서 그들에게 중요성을 두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자기네들은 따를 수 있다,“고 말한다. ”동 아시아인 들은 사회분야에 보다 많은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으로 본다.“
Nisbett는 이러한 변화의 원천의 추적은 최소한도 2,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규모 농업의 협력 시대에 동아시아 기초 경제가 태동되었다. 대부분의 일꾼들을 위해, 생존을 위한 경제가 요구하는 것은 그 농업을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에게 관심을 두며 또한 들판에서 일하고 있는 함께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주변상황이 중요했었다.
반대로 그리스 고대사회에서는 - 原型의 서구사회- 개인적인 활동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데, 사냥, 고기잡이, 소규모 영농과 같은 것들이다. 그 다른 점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고 말한다. 동 아시아사회의 경향은 서구사회보다 사회적 복합성이 보다 더 강하다. 그러므로 주변배경을 이해하자면 서양 세계보다 동 아시아에서의 가치가 보다 크다고 말 할 수 있겠다.
특성의 차이
인류학자 Alan Fiske가 발표한 자료는 "아주 논리적이다".(Very Sound) 하지만 복합적인 이유에 대한 의문은 그 연구 저자가 사용한 차이점에 대한 설명이다. “사회과학 연구자는 일반적인 용어 속에서 동 아시아인과 유럽-미국사회에서 무엇이 다른지 절대적인 특징을 구별하는데 성공하지는 못했다.” Los Angeles 발전부에서 문화센터장이며 중추부레인으로 일 해오고 있는 Fiske는 “우리들 모두는 그곳에 있는 많은 다른 점에 대해 동의 하지만 그들에 대해 특징을 짓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Fiske는 “의미 신중한 통계와 사화 과학적 관심들” 어느 하나의 장면에 대한관점에 대한 견해에 대해 중국인과 미국인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첨언을 하고 있는데 多 文化的인 팀 구성원 속에서 일하면서 학구적으로 탐구하는 사람들끼리 강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Fiske의 연구에 의한 다른 점에 대한 폭로는 서양과 동 아시아 문화는 같은 언어를 사용할 때 서로 이해 할 수 없는 것은 그렇게 많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가 사람들에게 암시 하고 있는 것은 기억하고 알아차리는 차이점의 강도에 가치에 두어야 할 것이다.”
수석연구저자인 Nisbett는 탐구는 역시 국제관계에서 복잡하다. 그곳에 있는 것들에 대한 차이점들 그리고 어째서 이러한 다른 점들이 존재하는지를 이해 할 수 있으면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은 전쟁을 각오해야 /趙甲濟 (0) | 2006.10.04 |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0) | 2006.10.04 |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부쳐 (0) | 2006.10.03 |
부끄러운 국가인권위원회 (0) | 2006.10.02 |
어느 사기꾼 (0) | 2006.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