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정보

골칫거리인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최대로 늘리는 법

세태풍자 2015. 3. 9. 23:52
반응형

골칫거리인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최대로 늘리는 법

삼성전자가 최근 스마트폰 야심작 갤럭시S6를 내놓았다.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언론들은 현재의 갤럭시S5 판매 부진을 만회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호평한다. 하지만 갤럭시S6의 배터리가 예전보다 작아지고 몸체와 분리가 안되는 일체형이라는 것은 단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잘 관리해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이 예전보다 더 중요해졌다.

스마트폰 뿐 아니라 모든 휴대용 전자제품의 최후 과제는 배터리 수명문제. 배터리 제조기술이 발달하면서 배터리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충전과 방전에 관한 과거의 상식도 많이 바뀌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배터리 수명이 주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수명을 좀 더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 ‘신뢰성시험그룹’의 전문가와 함께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늘리기의 오해, 속설, 사실을 알아봤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최근 내놓은 ‘배터리 가이드북’의 내용도 참고했다.

Q) 스마트폰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완전방전·완전충전 하는 것이 좋은가?

A) 완충·완방이 좋은 건 이전 세대인 니켈 배터리의 경우에 한정된다. 최근 스마트폰에서 쓰이는 리튬 2차 배터리는 일정 수준 이상 늘 충전되어있는 것이 오히려 수명 연장에 좋다. 배터리 속의 전압이 낮으면 부품 부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완충·완방은 오히려 배터리 수명을 줄일 수 있다. 시간날 때마다 충전해주는 편이 배터리 수명 연장에 낫다는 뜻이다.

Q)100% 충전 후에는 배터리를 빼놓아야 하나?

A) 원론적으로는 과열 방지 등을 위해 빼놓는 편이 좋다. 그러나 최근 주요 제조사가 만드는 충전기는 완충 이후 전력을 대부분 차단하기 때문에 과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요즘의 배터리 안에는 무수히 많은 리튬이온이 있는데, 100% 충전 표시가 뜨더라도 실제로는 ‘약한 전류에 의한 충전’이 계속된다. 따라서 충전기를 계속 꽂아두면 100% 이상 충전이 된다. 배터리는 1년 이상 지나면 성능이 떨어지는데, 이 경우 100% 표시 이후에도 계속 충전기를 꽂아두면 추가 충전을 기대할 수 있다.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완전방전후 완전충전시킬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완전방전후 완전충전시킬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Q) 코드를 꽂은 채 휴대폰을 사용하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든다던데.

A) 그렇지 않다. 전원을 연결하는 것은 전기량을 받아들이는 경우고, 그 일부가 휴대폰 작동에 쓰이기 때문에 충전 속도가 느려질 뿐이다. 이는 배터리 수명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Q) 휴대폰(배터리)을 냉장고에 보관하면 수명이 길어진다는 말도 있다.

A) 리튬 배터리는 온도가 높은 곳에서 더 빨리 최대 충전용량(maximum capacity)이 감소하는 건 사실이다. 0도에서는 1년에 6% 정도 감소하는 반면에, 25도에서는 20%, 40도에서는 35%나 감소한다는 연구가 있다. 그렇다고 냉동실에 휴대폰(배터리)을 보관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니다. 녹는 과정에서 외장 케이스가 변경될 수도 있고, 급격한 온도 차로 표면에 이슬이 맺혀 합선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Q) 추운 곳에서 휴대전화를 쓰면 순식간에 방전된다. 위의 질문과 반대인데.

A) 배터리가 추운곳에서 빨리 방전되는 건 맞다. 이와 별개로 배터리 자체의 수명은 온도가 낮은 곳에서 더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다.

Q) 급속 충전은 배터리 수명과 무관한가?

A) 급속충전기는 전류를 많이 내도록 구성돼 있다. 높은 전압으로 급속히 충전하면 전극 내부 재료의 농도 편차가 증가해 배터리 성능에 약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명 제조사 일부에선 이런 증상을 완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고 하지만, 급속 충전이 배터리에 좋을 수는 없다.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반응형

'일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0) 2015.03.29
담배와 수명  (0) 2015.03.29
간통죄 위헌결정 수혜주라네요..  (0) 2015.02.28
일본은 지금 이렇게 가고 있는데...  (0) 2015.02.25
4대 암 명의들이 추천하는 식탁  (0) 2014.12.04